본문 바로가기

간헐적단식6

건강, 노화, 질병에 대한 간헐적 단식의 효과 건강, 노화, 질병에 대한 간헐적 단식의 효과 세계에서 가장 권위 있고 까다롭다는 'The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에서 철저한 검토 후 발행을 승인한 논문이다. 간헐적 단식의 장점은 단순히 체중을 감소시키거나 활성산소(과다시 질병, 노화)를 감소시키는 것이 아니다. 간헐적 단식은 인슐린 민감도를 개선하고, 스트레스 저항성을 향상시키고, 염증을 억제한다. 인슐린은 에너지 대사에 관여하는 호르몬이다. 음식을 먹으면 분비되어 포도당을 에너지로 저장하고 지방을 에너지로 저장하도록 시지를 한다. 그리고 음식을 먹지 않으면 분비되지 않아서 혈액 내에서 점점 그 수치가 떨어진다. 하지만 인슐린 민감도가 낮은 사람은(당뇨병) 식사 후 인슐린이 분비되어도 포도당을 에너지로 저장하지 못하.. 2020. 9. 10.
식사의 80%가 탄수화물이면 인슐린이 폭등할까? 식사의 80%가 탄수화물이면 인슐린이 폭등할까? → 어떤 탄수화물을 언제 먹느냐에 따라서 다르다. 이렇게 가공된 탄수화물이 식사의 80%를 차지하고 또 자주 먹는다면 인슐린이 급격히 올라가서 지방을 저장하는 몸이 된다. (하지만 가끔만 적당히 먹고 간헐적 단식 시간을 지킨다면 괜찮다) 총 식사 중에 80%가 탄수화물이었던 일본 전통 오키나와 장수촌 마을을 보자. (지금의 오키나와는 많이 달라졌다고 한다) 여기 사람들은 식사의 80% 이상이 탄수화물이었다. 하지만 가공되지 않은 진짜 음식이었다. 그리고 80% 중 60%는 고구마였다. 그리고 그들은 농사를 지으며 일을 하였고 해가 지면 먹지 않았기 때문에 단식 시간이 길었다. 즉, 간헐적 단식을 하고 있었다. 이들은 비만은커녕 아주 날씬하고 질병도 없이 장.. 2020. 9. 8.
간헐적 단식 VS 칼로리 제한 다이어트 간헐적 단식 VS 칼로리 제한 다이어트 간헐적 단식은 먹지 않는 시간을 길게 갖는 식사법이다. 하루 24시간 기준으로 8시간 동안 2끼~3끼의 적당량의 식사를 하고 16시간 이상 물만 마시며 금식을 하는 식사 법이 가장 일반적이다. 16시간 금식 8시간 식사 18시간 금식 6시간 식사 19시간 금식 5시간 식사 20시간 금식 4시간 식사 22시간 금식 2시간 식사 23시간 금식 1시간 식사 24시간이 넘어가는 격일 단식도 있다. 칼로리 제한 다이어트는 기초대사량 또는 그 이하의 칼로리를 하루에 여러 번 나누어 먹는 식사법이다. 아침 조금 먹고 간식 조금 먹고 점심 조금 먹고 간식 조금 먹고 저녁 조금 먹고 자기 전에 또 조금 먹고 이런 식으로 적은 열량의 음식을 아침부터 밤까지 나누어 먹는다고 보면 된다.. 2020. 9. 7.
단식이 근손실을 일으킬까? 단식이 근손실을 일으킬까? 결론부터 말하자면 아니다. 우리 몸은 에너지를 포도당과 지방의 형태로 저장하지 단백질 형태로 에너지를 저장하지 않는다. 단백질이 아니어도 몸에 에너지로 쓸 충분한 포도당과 지방이 있기 때문에 에너지 형태가 아닌 단백질을 분해하지 않는다. 아래 연구결과들이 증명한다. 단식 기간 동안 근육을 분해한다면 시간이 지날수록 단백질을 에너지로 쓰는 양이 증가해야 하는데 그래프를 보면 단백질 산화가 점점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다. UREA(요소)는 단백질이 분해된 부산물이다. 왼쪽은 보통 상태 오른쪽은 단식 상태 단식 상태를 보면 요산의 양이 정상상태에 비해 아주 적다. 근육을 태워서 에너지를 얻고 있다면 요산의 양의 왼쪽 그래프와 비슷해야 하지만 전혀 아니다. 단식 중에도 몸은 근육을 .. 2020. 9. 7.
건강하게 살을 빼고 싶다면 단식을 하세요. 건강하게 살을 빼고 싶다면 단식을 하세요. 단식은 음식을 먹지 않는 것이다. 오로지 물만 마시는 것이 단식이다. 요즘 효소단식, 주스단식 이런 말이 있는데 그건 단식이 아니라 그냥 효소나 주스를 먹는 것이다. 진짜 단식은 몸안에 칼로리가 들어오지 않는 것을 말한다. 단식은 하루에서 길게는 40일까지 할 수 있고 실제로 380일이 넘게 물과 비타민과 같은 보조제만 먹으며 단식을 한 사람도 있다. 간헐적 단식은 식후 16시간, 18시간, 20시간.. 물 이외에는 먹지 않는 단식을 간헐적으로 반복하는 것이다. '단식'이라는 단어만 나오면 항상 걱정하는 것이 있다. '근손실' 하지만 근육은 단백질이고 단백질은 에너지의 저장 형태가 아니기 때문에 단식으로 인한 반응으로 근육(단백질) 분해는 일어나지 않는다. 단식.. 2020. 9. 4.
살(체지방) 빼는 법 살(체지방) 빼는 법 동물이 살아가려면 에너지(칼로리)가 필요하고 포도당과 지방이 주 에너지원이다. 포도당과 지방이 타면서 에너지가 발생하고 우리는 그 에너지로 생활을 할 수 있다. 그래서 우리는 음식을 먹는다. 그리고 이 음식을 포도당, 지방으로 소화시켜 에너지를 얻고 남은 칼로리는 저장한다. 하지만 필요한 양보다 너무 많은 음식을 먹어서 남은 칼로리(에너지)가 생기게 되면 우리는 이 칼로리를 똥으로 버리는 것이 아니라 비상시를 대비하여 글리코겐과 지방의 형태로 몸에 저장을 한다. (저장된 글리코겐은 필요시에 포도당으로 분해되어 사용된다) 하지만 글리코겐으로 저장할 수 있는 양은 한계가 있기 때문에 남은 칼로리는 계속해서 지방으로 차곡차곡 무한정 쌓이게 된다. 이렇게 에너지를 저장하는데 도움을 주는 호.. 2020. 9. 3.